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산지하철7

낙동강변의 지하철 호포역 그리고 기차 부산지하철 2호선의 호포역은 부산광역시와 경남 양산시의 경계가 되는 역으로 행정구역상 양산시 동면에 속해 있습니다. 호포역에서 장산 방면으로 2정거장 앞의 역인 동원역부터 반대방향의 종착역 양산역까지는 부산지하철 2호선이 지하구간을 벗어나 지상구간을 지나가게 됩니다. 그래서 종착역 양산을 향해 가는 지하철을 타고 바로 옆을 흐르는 낙동강과 경부선을 지나는 기차 그리고 많은 사람들을이 자전거 페달을 밟는 낙동강 종주 자전길을 동시에 볼 수 있습니다. 호포역 근처의 낙동강 종주 자전거길은 양산천 자전거길과 만나는 곳입니다. 호포역에서는 이렇게 지하철과 기차를 함께 볼 수 있습니다. 부산방향으로 낙동강 종주 자전거길이 이어져있습니다. 호포역 바로 앞에 있는 금곡역에서 지하철이 교차되고 있습니다. 부산방향으로 .. 2013. 5. 20.
종착역... 그리고 새로운 출발의 호포역 부산 지하철 2호선의 예전 종착역은 호포였습니다. 하지만 작년 1월(2008년 1월 10일)에 2호선 양산선이 개통됨에 따라 장산에서 출발한 지하철이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역은 호포와 양산으로 두 곳이 되었습니다. 행정구역상으로는 호포도 양산시에 속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겠지만 양산시내쪽에도 지하철역이 생김으로써 양산에 사시는 분들은 한층 더 부산과 가까워졌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요즘들어 저는 양산역에 가는 횟수가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양산역까지 가는 지하철은 시간대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한 시간에 4회 정도 있습니다. 어김없이 양산역을 가게 되었던 얼마 전 호포역까지 가는 지하철을 탔습니다. 그래서 양산역까지 가는 지하철을 기다리는 시간동안 여유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호포역의 바로 옆.. 2009. 8. 22.
부산 시민이라면, 지하철 퀴즈에 응모해보세요~ 저는 학생때부터 지금까지 계속해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지만 최근 고유가로 인해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이 부쩍 늘었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예전에 비해 출퇴근 시간에는 지하철에 사람들이 많아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가용에 비하면 대중교통수단인 버스나 지하철이 답답하고 짜증나겠지만 요즘처럼 고유가 시대에는 대중교통이용이 최선의 방법이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니 서로를 배려하는 마음으로 우리 모두 이 힘든 시기를 잘 이겨냅시다. ^^ 제가 주로 이용하는 교통수단인 부산의 지하철은 총 3개 노선으로 부산교통공사가 운영을 하고 있는데 시민들을 위한 서비스가 조금씩 나아지고 있어서 지하철 애용자의 한 사람으로서 참 기분 좋습니다. 지하철을 자주 이용하시는 부산시민이라면 한 두 번 보셨을 .. 2008. 6. 15.
부산에서 지하철을 저렴하게 이용하는 방법!! 출퇴근시간이면 많은 사람들로 붐비고 지하의 탁한 공기 때문에 조금은 답답한 지하철이지만 '지하철은 여러분들의 소중한 약속시간을 지켜드립니다'라는 문구처럼 정확해서 편리해서 저는 지하철을 애용합니다. 안타깝게도 수도권이나 다른 광역시의 지하철 승차권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몰라서 안내해 드릴수 없지만, 부산시민이거나 부산으로 출퇴근을 하시는 분으로 버스보다는 지하철을 주로 이용하신다면 '하나로카드'나 '마이비카드'를 사용하는 것보다 '지하철 정기권'을 구매해서 이용하시는 것이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미 다 알고 계시겠지만 아직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알려드리겠습니다. 부산의 지하철 운임체계는 대략 위와 같습니다. 1구간은 1,100원(어른기준) 이며 2구간은 1,300원(어른기준) 입니다만 교통.. 2008. 2. 19.
부산 2호선, 문현역 앞으로 제가 얼마간의 기간에 걸쳐서 완성하게 될지는 알 수 없습니다만 여유가 있을때마다 시도해보려는 주제가 생겼습니다. 바로 제가 살고있는 부산 지하철역의 정보를 포스팅 해보려고 합니다. 역마다 큰 차이나 특색은 뚜렷이 있지 않지만 해당역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에 제가 시작해보려고 하는 것입니다. 현재 부산 지하철은 총 3개 노선에 90개역(1호선 34개, 2호선 39개, 3호선 1단계 17개)이 있습니다. 앞으로 연장노선까지 한다면 20개정도의 역이 더 늘어난다고 보고 차분히 시작해보겠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지하철은 노선과 역이 많아서 엄두도 내기 힘들겠지만 시작하시는 분이 계시다면 더 힘이 날 것 같습니다. 우선 이 엄청난(?) 프로젝트에 시작을 알리는 역은 바로 제가 가장 많이 이용하는 2호선의.. 2007. 12. 13.
부산 지하철의 승차권 자동발매기 부산 지하철의 승차권 자동발매기가 깔끔하게 바뀌었습니다. 서울을 비롯한 다른 곳은 가보지 못해 어떤지는 모르겠지만 부산의 것은 전면터치스크린이라 사용하기 편했습니다. 그리고 예전에는 영어는 물론 그 어떤 외국어도 지원하지 않았는데 이젠 영어는 지원되네요. 부산의 지하철은 총 3개의 노선만을 가지고 있어서 서울처럼 거리에 따른 다양한 요금체계가 아니라 단순히 1구간, 2구간으로만 나누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요금도 1구간 1,100원(교통카드 사용시 10% 할인 _ 990원), 2구간 1,300원(교통카드 사용시 10% 할인 _ 1,170원)으로 서울보다 비쌉니다. ▲전면터치스크린 사용. 2007. 9. 15.
지하철의 최단환승지점표시 _ 07.08.18 언제 이런게 붙어있지?? 그동안 눈여겨 보지 않아서 그런가?? 최단환승지점 !! 아무튼 재미있다 ㅎㅎ 이 표시가 없어도 아는 사람은 다 아는터. 지하철을 타면 꼭 특정 칸에 사람이 많이 몰려있다. 왜그럴까? 답은 최단거리만을 이동해 환승하기 위해서 생긴 생활의 노하우때문이다. 특히 출퇴근시간에 1초 차이로 내눈앞에서 문이 닫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니까 !! 혹시나 몰랐던 사람이라면 이 표시를 이용하면눈 앞에서 문닫은 지하철 기관사 아저씨를 원망의 눈초리로 바라볼 일이 많이 줄어들 것이다. 참고로... 부산지하철의 경우입니다. 2007. 8.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