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종대왕3

뿌듯해서 더 아쉬웠던, 신기전(神機箭, 2008) 저는 사극을 무척 좋아합니다. 물론 다양한 소재의 현대극도 재미있지만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작가의 상상력이 어느 정도 가미된 사극은 그에 관한 배경지식만 가지고 있다면 자신의 상상과 비교해보면서 참 재미있게 볼 수 있는 매력이 있습니다. 지금도 꾸준히 제작되고 있는 사극의 시대 배경은 단연 조선왕조입니다. 그만큼 지금의 우리와 제일 가까운 시기의 왕조였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기록이 제일 자세하기 때문에 복원해내기 쉽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세상에서 제일 존경하는 인물을 꼽으라면 누가 뭐라고 해도 우리만의 글을 만드신 세종대왕님을 꼽겠습니다. 그래서 KBS의 대하드라마 대왕세종도 될 수 있으면 챙겨보는 편입니다. 세종대왕님 하면 우리나라 역대 왕들 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꼽히는 분으로서 성군(聖君)으.. 2008. 9. 7.
"에비~ 더러워!" '에비'의 유래를 아시나요...? 손에 닿는 물건을 무조건 입으로 가져가는 아이를 키우거나 이제 막 걸음마를 배우기 시작해서 이것저것 집어드는 아이가 있는 집에서는 하루에도 몇 번씩 말하게 되는 '에비'. "에비~! 더러워!" "에비~~ 그건 안돼!!" 기억에는 없지만 우리가 어렸을 때도 많이 들었을 이 '에비'라는 말이 어디에서 유래했는지 아시나요...? '에비'라는 말은 바로 우리의 가슴 아픈 전쟁사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합니다. 때는 조선 선조 25년이었던 1592년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를 침략한 왜놈들이 전장에서 자신들의 전과를 상부에 보고하기 위해 우리 조선인들의 귀(이 耳)와 코(비鼻 )를 베어 소금에 절여 일본으로 보냈습니다. 그것을 받아본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얼마나 기뻐했었을까요... 그때 보내졌던 우리 조선인들의 '이.. 2008. 3. 16.
한글이 왜 만들어졌는데!! 음... 정말 착찹한 심정입니다. 여러분들은 우리나라 하면 어떤 것을 떠올리십니까, 태극기? 한반도? 등등 많은 것이 있겠지만 단연 '한글'이 아닐까요?? 차기정부에서는 앞으로 우리나라의 모든 초중고등학교에서 하는 수업을 영어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영어를 공용어로 주장하는 이들이 꽤 있었지만 이젠 아예 대놓고 영어수업을 하려고 한다니... 지하에 계신 세종대왕께서 어떤 반응을 보이실까요... 대체 우리의 글, 한글이 왜 만들어졌습니까?? 학창시절 국어시간에 아무리 졸았던 분이라고 해도 '나랏말싸미...'로 시작하는 글귀를 배운 기억이 날겁니다. 여러분들이 배우셨던 그 글귀는 바로 훈민정음을 만드신 세종대왕님의 어지(御旨, 임금이 직접 씀)입니다. 世세宗종御어製제 訓훈民민正정音음 나랏말싸미.. 2008.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