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80 세면대 부속품(세면대 배수관 및 팝업) 셀프 교체하기, 내돈내산 후기 화장실 세면대를 사용한 지도 어언 6년이 지나니 세면대 배수관에 문제가 생겼습니다. 배수관 안쪽의 고무패킹이 헐거워졌는지 어느 날인가부터 물이 내려가면 세면대 아래에서 물이 조금씩 새어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전문업체를 통하면 재료비+공임+출장비 등 모두 더해서 교체 비용이 최소 7만 원 이상은 할 것 같아서 셀프 교체해 보기로 했습니다.열심히 인터넷을 검색해보니 금방 할 수 있을 것 같은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저희 집 세면대 배수관이랑 비슷하게 생긴 제품을 주문했습니다. 배송비가 포함된 가격은 11,900원.주문한 지 단 하루만에 도착한 세면대 부속품(세면대 배수관 및 팝업), 교환/반품에 대한 안내문.내부 고무패킹이 헐거워진 세면대 배수관이 축 처져 내려와 있습니다.사용한 시간만큼 찌들고 낡은 .. 2025. 1. 12. 비행기에서 내려다 본 하늘 아래의 풍경 땅을 밟고 사는 사람이지만 가끔 새처럼 하늘을 날 때면 비행기 창 밖 하늘 아래에 펼쳐 치는 풍경은 마냥 신기합니다. 하늘을 나는 설레임 그리고 낯선 곳에서의 시작... 김해공항을 이륙한 비행기 아래로 펼쳐진 부산 강서구 가락동의 들녘입니다.하늘 아래의 세상은 눈으로 온통 새하얗게 바뀌었습니다.비행기 창 밖으로 구름과 함께 한라산이 보입니다. 대만 타이베이를 출발해 부산으로 향한 비행기의 비행 정보입니다.비행고도와 속도 그리고 비행기 바깥 온도가 정말 후덜덜합니다... 2025. 1. 12. 원동역 순매원 매화원동마을 전망대의 기차들 경남 양산시 원동면에 있는 원동역과 그 일대는 매년 봄 원동매화축제가 열리는 곳으로 유명합니다. 그리고 3월 봄의 매화와 더불어 낙동강변을 따라 뻗은 철로 위로 지나는 기차의 사진을 좋아하는 분들이 많이 찾는 곳으로도 유명합니다. 2025. 1. 12. 동틀 무렵의 부산항대교 제가 지난 9일(목)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야외주차장에 도착해서 부산항대교를 촬영한 시각은 오전 7시 10분. 부산의 날씨치고는 무척 추운 아침이었지만 하늘은 아주 아름답게 붉은색으로 물들고 있었습니다. 그것은 바로 일출이 머지않았다는 뜻. 길고 짙었던 어둠이 서서히 걷혀가는 어스름한 시간의 흐름 그리고 고요한 아침의 모습이 참 아름다웠습니다.이날 한국천문연구원의 천문우주지식정보에서 확인한 2025년 1월 9일 목요일 아침 부산 영도구쪽에서 해가 뜨는 시각은 오전 7시 33분입니다. 2025. 1. 12. 주정차 단속 알림 어플, 휘슬! 오~ 좋네요!! 사무실에서 열심히 일하고 있던 때 카톡 알림이 하나 왔습니다. '010휘슬'에서 주정차 단속 예정이라는 내용의 카톡 알림이었습니다. 그것도 제 소유의 자동차 번호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카톡 알림. 순간 이게 뭐지? 하다가 문득 예전에 전국 주요 지역의 주정차 단속 알림을 모아서 받을 수 있다는 어플(휘슬)을 설치했었다는 게 기억났습니다. 그래서 아내에게 전화를 걸어서 확인을 했더니 당근거래하러 나와서 잠시 주차를 해놓은 상태라고 합니다.아내에게 주정차 단속 예정이라는 알림이 왔으니 얼른 다른 곳으로 차를 옮기라고 말해주면서 그동안 잊고 있었던 휘슬이라는 어플의 존재 및 유용함을 확인하게 되었습니다. 지자체별로 주정차 단속 알림을 해주는 곳도 있고 그렇지 않은 곳도 있으니 행여나 부득이한 주차로 과태료를 .. 2025. 1. 9. [맛집-한식]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근처 맛집, 종가한옥김치찜 간장게장 물금점 양산부산대학교병원 근처의 밥집을 찾으시나요? 그렇다면 병원 입구 맞은편 택지 구역에 있는 종가한옥김치찜 간장게장 물금점을 추천합니다. 병원에서 그리 멀지도 않고 가격도 적당하고 양도 많아서 좋았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제가 갔을 때도 손님들이 끊이지 않고 오셔서 드시고 가시더라고요. 주소: 경남 양산시 물금읍 화합길 13, 1층전화: 055-385-5454영업시간: 09:00~20:30, 라스트 오더 19:50휴무일: 매주 토요일주차: 가능기타: 포장, 배달, 와이파이 있음 2025. 1. 8. 야식 라면에 넣은 달걀이... 쌍란!! 이른 저녁을 먹고 조금은 출출해진 밤늦은 시각... 보지 말았어야 할 TV속 라면 끓이는 장면... 그리고 출연자들이 라면을 먹는 장면... 후루룩 후루룩 라면 면치기하는 소리에 홀려서 결국 가스레인지 위 냄비를 올리고 물을 넣고 가스불을 켜고 말았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출산(?) 임박에 가까운 올챙이배의 소유자인데... 고칼로리 라면을 그것도 늦은 밤에... 내일 아침 거울을 보고 놀랄 수도 있지만...어쨌든 먹기로 했으니... 뭐... 얼른 끓여야죠~ ㅎㅎ저는 라면 끓일 때 달걀이 빠지면 좀 서운해서 항상 달걀을 넣는데... 어라~~?!톡! 톡! 탁~~ 깨서 라면에 넣은 달걀이...쌍란이네요^^ 보글보글 라면 한 젓가락 하실래예? ㅎㅎ쌍란: 노른자가 2개 들어가 있는 달걀. 쌍둥이. 사람의 쌍둥이.. 2025. 1. 7. 어린이 치아 X-ray 사진은 좀 무섭네요... 이제 만 9세를 향해 커가고 있는 딸아이의 치아는 요즘 계속해서 유치(乳齒)에서 영구치(永久齒)로 열심히 바뀌어가고 있는 중입니다. 그래서 아내가 딸아이와 함께 수시로 치과를 다니고 있습니다.제가 어렸을 때만 해도 치아는 으레 때가 되면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가 나는 것이 아주 자연스러운 일이라 치과에 가본 적이 없었습니다.그러다 보니 어린 시절 치아의 X-ray 사진을 본 적이 없었는데 이번에 딸아이가 다니는 치과에 따라갔다가 딸아이 치아의 X-ray사진을 보게 됐습니다...세상에...!! 이럴수가...!!! 처음 본 어린이 치아의 X-ray 사진은... 놀랍기도 하고 무섭기도 하고 징그럽기도 합니다... 유치 아래에 영구치가 저렇게 모여있다니... 2025. 1. 6. 부산김해경전철, 테마열차(코코몽, 터닝메카드)의 추억 부산김해경전철이 개통 4주년을 맞이하여 2015년 9월부터 선보였던 코코몽 테마열차와 터닝메카드 테마열차. 무슨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이제는 더이상 이런 종류의 테마열차를 보기가 어려워졌습니다.지금은 훌쩍 커버린 아들의 꼬꼬마 시절 아내와 코코몽 테마열차와 터닝메카드 테마열차 운행 시간에 맞춰서 부지런히 움직이던 그 시절이 생각나네요. 코코몽 테마열차 운영 종료 공지 2025. 1. 5. 임경대, 낙동강변을 달리는 ITX-새마을호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황지동 황지연못에서 시작된 낙동강의 여행이 거의 끝자락에 이를 때쯤 만나게 되는 경상남도 양산의 원동면에 임경대가 있습니다. 임경대는 넓고 큰 낙동강 물줄기를 한눈에 조망하기 좋은 곳입니다. 마치 시간과 흐름이 멈춘 것만 같은 낙동강변을 따라 거꾸로 강을 거슬러 오르는 연어들처럼 ITX-새마을호가 서울을 향해 힘차게 달려가고 있습니다. 2025. 1. 4. 빵 도둑 아빠에게 보낸 딸내미의 귀엽지만 묵직한 한방! 딸내미: '딸'을 귀엽게 이르는 말.저는 평소 밥 배 따로 있고 빵 배가 따로 있다고 말할 만큼 빵을 좋아합니다. 딸아이도 그런 제 식성을 닮았는지 빵을 좋아하는 편입니다. 그래서 좋은 점도 있지만 안 좋은 점도 있습니다. 어느 하루는 초딩 딸내미가 부드럽고 크림이 많은 빵의 중간 부분만 먹고 양쪽 끝부분을 남겨놓은 것을 발견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딸내미가 남은 부분은 더 이상 먹지 않을 것 같았고 곧 버려지게 될거라는 생각에 순간 안까운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리고는 제가 먹어치워야겠다는 생각에 딸내미에게 묻지도 않고 남은 빵을 먹었습니다. 그런데... 아뿔싸...한참을 자기 방에서 놀다가 나온 딸내미가 이미 제 뱃속으로 들어간 빵의 행방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처음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었는데... .. 2025. 1. 3. 부산 앞바다에서 대마도가 보인다고?!!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배를 타고 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작 일본 본토보다도 우리나라와 훨씬 더 가까운 섬, 대마도(일본명 쓰시마섬). 역사적으로는 1419년(세종 1년) 음력 6월 19일 왜구를 소탕하기 위한 조선의 정벌이 있었던 곳이기도 합니다.대마도에는 모두 2곳의 항구가 있는데 북쪽 항구(부산 ⇔ 히타카츠, 약 1시간 10분)로 가느냐 남쪽 항구(부산 ⇔ 이즈하라, 약 2시간 10분)로 가느냐에 따라 소요시간이나 거리는 다르지만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울릉도나 독도보다도 훨씬 더 가까운 곳입니다. 카카오맵의 '거리재기' 기능을 통해서 동해항에서 울릉도까지의 거리를 측정해봤습니다. 마찬가지로 동해항에서 독도까지의 거리를 측정해보았습니다. 이에 반해 부산 앞바다에서 대마도까지의 거리는 상당히 가깝습.. 2025. 1. 3. 이전 1 2 3 4 5 6 ··· 32 다음 반응형